티스토리 뷰

반응형

목차

  • 혈관성치매 : 종류, 진단, 치료
  • 전두측두엽치매 : 종류, 진단, 치료

 

혈관성치매

 

혈관성치매는 뇌출혈, 뇌경색 등 뇌혈관질환으로 인해 대뇌가 손상되어 인지기능 저하가 나타난 것을 말한다. 알츠하이머병에 이어 흔한 치매 원인 중 하나이다.

 

증상

혈관성치매는 갑자기 발병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증상이 언제부터 어떻게 생겼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뇌혈관질환, 고혈압, 당뇨 등 과거력을 확인한다. 발음이 어눌해지거나 한쪽에 마비가 생겼는지 등 보행이상, 감각이상, 시야결손, 요실금 신체적 증상을 확인한다.

 

1. 다발경색치매

 

뇌 경동맥이나 중뇌동맥과 같은 큰 혈관에 뇌졸중이 발생하여 나타난다. 뇌 병변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뇌경색이 반복적으로 발생 시 증상이 나타났다 유지했다 하는 계단식 진행을 보인다.

 

2. 전략뇌경색치매

 

뇌경색으로 인해 인지장애가 나타나는 치매이다.

 

3. 피질하혈관치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과 같은 혈관 위험인자에 장기간 노출되어 소동맥질환 등이 발생하는 치매이다. 다른 혈관성치매와는 달리 오랜기간 진행되므로 알츠하이머병과 구별이 필요하다. 편두통, 기억장애, 주의집중력장애 등을 호소한다.

 

진단

 

신경심리검사에서 뇌졸중으로 인한 기억력 장애는 주의력결핍을 보인다. 기억 과정 중 기억인출능력이 저하된다. 언어 유창성 손상이 나타난다. 운동기능, 억제능력, 전두엽 기능 저하를 보인다. 일상생활능력이 갑자기 저하되거나 계단식으로 악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뇌영상검사에서 뇌경색, 백질변성과 불규칙한 고음영 변화, 뇌혈류저하를 나타낸다.

 

치료

 

약물치료는 콜린에스테라아제억제제, 항혈전제,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제,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항산화제, 혈관작용약 등이 사용되고 있다. 알츠하이머병에서 사용하는 메만틴 치료제는 혈관성 치매에서도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보였으나 일상생활을 비롯한 증상에서는 효과를 입증하지 못했다. 여러 임상시험이 시행되었지만 임상시험 결과 치료효과가 입증된 것은 제한적이다. 혈관성치매로 진행되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뇌졸중 예방이 중요하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대사증후군, 흡연, 비만, 신체활동 부족과 같은 혈관 위험 인자를 조절해야 한다.

 

전두측두엽치매

 

전두측두엽치매는 전두엽, 측두엽의 퇴행성 변화로 사회적 행동 변화, 언어장애, 성격변화 등을 보인다. 전두측두엽은 다른 치매에 비해 비교적 50~65세의 젊은 나이에 발병을 보인다. 인지기능 기억력저하보다는 이상행동이 주로 나타나 증상만으로 치매를 진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증상

 

행동변이 전두측두엽치매

 

인격변화, 충동조절 장애 등을 보인다. 탈억제로 인해 일상에 어려움을 겪는다. 무감동, 삶의 흥미 상실, 개인위생 인식 저하를 보이기도 한다. 주변사람들은 변화된 증상을 알아차리지만 대상자 본인은 변화된 자신의 모습을 알아채지 못하기도 한다. 폭식을 하거나 알코올 등 섭취가 증가하기도 한다.

 

의미치매

 

언어를 유창하게 말하지만 단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단어찾기가 곤란해진다. 의미지식의 상실을 보인다.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이 저하된다. 냉담한 대인관계를 보인다. 소리나 냄새와 같은 단어 의미를 알아차리기 어려워한다.

 

진행성 비유창 실어증

 

인지기능 저하나 행동 이상 변화 없이 말하기를 어려워하고 말을 더듬거나 우물쭈물한다. 언어 선택을 어려워한다.

 

진단

 

면담 시 인지기능, 성격변화, 가족력 등을 확인한다. 성격변화 증상으로 인해 반사회적 인격장애, 조현병, 중독성 질환 등과 감별이 필요하다. 신경심리검사상 추상적 사고능력과 반응 억제능력이 저하되어 있다. 집행기능 저하를 보인다. 유창성 검사, 언어능력 검사 등에서 낮은 점수를 나타낸다. 그에 비해 시공간 능력, 삽화 기억은 양호하다. 뇌영상검사 상 전두엽과 측두엽 위축을 보인다.

 

치료

 

아직까지 전두측두엽치매를 완치하는 치료제는 없다. 대부분 알츠하이머병에서 사용하는 약물을 활용한다. 강박, 초조, 공격성 등은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를 고려한다. 흥분, 우울, 섭식장애에 트라조돈을 처방하기도 한다. 이상행동 감정변화 시 항우울제를 처방할 수도 있다. 항타우단백질 관련 약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반응형